지난 시간에는 하드디스크(HDD) 배드섹터 툴을 알아보았습니다. HDD를 위한 툴은 SSD 검사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SSD는 배드섹터라를 검사하는 것이 아닌 치환된 섹터 횟수 (Reallocated Sectors Count) 값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SSD 구매 시 해당 값을 확인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새 제품에는 극히 드물겠지만 중고 제품 구입 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1테라 고용량 SSD 경우에는 꼭 체크해봐야 합니다.
SSD에서 읽고 쓰기 문제가 발생하면 대부분 낸드 플래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문제가 있는 경우입니다. 그리고 문제가 있는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안정된 장소로 옮기는 작업을 합니다. 이 횟수를 치환된 섹터 횟수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그럼 어떻게 값을 확인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치환된 섹터 횟수 확인 방법
SSD 치환된 섹터 횟수 확인 방법은 CrystalDiskInfo 프로그램으로 확인합니다. 아래 사이트로 이동하여 ZIP 혹은 INSTALLER로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됩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디스크에서 검사를 원하는 SSD를 선택합니다. SSD의 종류에 따라 치환된 섹터 횟수 혹은 영어로 Reallocated Sector Count로 표시됩니다.
한번도 문제가 없던 경우라면 해당 값이 "000000000000"로 나타납니다. 하지만 문제가 있었다면 값이 증가합니다. 해당 값이 증가하는 경우는 셀 또는 섹터 문제시 리맵핑 할 때입니다.
문제의 셀을 다른 곳으로 옮겼기 때문에 사용하는 데는 지장이 없습니다. 하지만 새제품인 경우에 이 수치가 보인다면 교환하는 게 좋습니다. 또한 중고 SSD 구매시 이 값을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결론적으로 HDD의 배드섹터 툴은 SSD 검사에 맞지 않습니다. SSD에는 치환된 섹터 횟수를 확인하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오늘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의 공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IT 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버즈 사용법 메뉴얼 다운로드 (0) | 2020.02.04 |
---|---|
네이버 파파고 번역기 영어 공부 카카오톡 활용 방법 (0) | 2020.02.01 |
하드디스크 배드섹터 검사 GM HDD SCAN 사용하기 (0) | 2020.01.28 |
알약 무료 다운로드 빠른 검사 정밀 검사 차이점 (0) | 2020.01.27 |
모니터 해상도 조절 윈도우10에서 하는 방법 (0) | 2020.01.26 |